<망치의 노래>
2024년 국가무형 유산 공개행사
두석장 보유자 박문열
2024.7.25-7.27
1950년 경북 경주 출생
1965년 서울 용산 삼흥 주물공장 입문
1968년 윤희복 선생 공방 입문
1989년 제14회 전승공예대전 장려상
1990년 제15회 전승공예대전 입선
1991년 문화재 수리기능자 등록
1991년 제16회 전승공예대전 입선
1992년 제17회 전승공예대전 입선
1993년 제18회 전승공예대전 문화체육부 장관상
1993년 부여 정림사지 황동철물장석 복원
1994년 서울 정도 600년 자랑스런 시민상
1997년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노동부 기능전승자선정 ‘전통장석제작’
1997년 양산 통도사 금강계단 시우쇠 장석물 복원
1998년 제23회 전승공예대전 특별상
1999년 전남 영광 불갑사 대웅전 장석물 보수
2000년 국가무형문화재 두석장 기능보유자 인정
2008년 뉴욕한마음선원 장석물 제작
2009년 한국문화재보호재단 한국전통공예건축학교 장석반 개설
2009년 대한불교 조계사 팔각 구층 석탁 청동상류부 제작 및 설치
2009년 광화문 복원현장 철물장석 제작 및 설치
2015년 바쉐론 콘스탄틴 260주년 “함프로젝트”
생활품에 복된 삶의 염원을 장식하는 기물 _ 장석과 두석장
목가구, 목공예품, 생활용품 및 건축물을 제작할 때, 기능을 보강하고 장식적 효과와 실리적 기능을 위해 금속장식을 필요로 하는 부분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문을 열고 닫는 기능, 내용물을 보호하는 잠금장치 기능, 이동을 위한 손잡이 등 여러 가지 역할을 위해 장식이 필요했으며, 이 필요한 부분에 금속제 장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장식을 총칭하여 장석이라고 한다. 또한 이러한 금속장식을 만드는 일이나 그 일에 종사하는 장인을 두석장이라 한다.
장석의 종류
장석이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목가구를 비롯하여 목공예품의 생활용품을 제작할 때, 기능의 필요에 의해 그 몸체에 부착하는 금속제 장식을 통틀어 말한다. 장석의 종류로는 부착하는 물건에 따라 농장석, 궤장석, 의걸이장석, 벼락닫이장석, 모반장석, 전통장석 등이 있으며, 문양은 팔봉(八峰), 사모, 아자(亞字), 나비, 박쥐, 붕어, 학 등 다산, 부귀영화, 수복강녕을 상징하는 동식물, 문자, 기하학을 응용하였다. 자물쇠는 귀자(貴字)쇠통, 비각쇠통, 거북장쇠통, 타래쇠통, 네모희자쇠통 등이 있다.
과거 장석은 그 자체가 완전한 하나의 물품이 되지 못하고 한갓 부품에 지나지 않아서 소목장의 주문에 따라 특별 제작되었으나, 현대에 와서는 이러한 전통기법을 활용하여 금속가구를 만들기도 하며 각종 생활가구 등을 만들기도 한다. 전통 목가구의 백골(나무가구 골조)에 백동이나 황동 금속판을 붙여 각게수리, 반닫이 등을 만들며, 이와 더불어 묵호, 금속연적, 필세, 먹상, 필가, 철, 연적 등 금속 생활용품에 넓게 사용되었다.